대학 학점개념을 아예모르겠어요 대학교 학점개념을 아예 모르겠어요 중간 기말 f는 뭐고 또 학점은
대학 학점개념을 아예모르겠어요 대학교 학점개념을 아예 모르겠어요 중간 기말 f는 뭐고 또 학점은
대학교 학점개념을 아예 모르겠어요 중간 기말 f는 뭐고 또 학점은 뭐고 숫자 몇점몇이런거랑 어캐해야 졸업하는 거고 성적이런거 아예 모르겠는데 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대학에서 말하는 학점은 흔히 두가지 개념을 혼용해서 사용합니다.
첫째는 평점인데요. A+, B0, F 등을 말합니다.
수업 성적에 따른 등급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쉽게 말하면 성적입니다.
'수업에서 학점을 잘받았다', '학점 관리를 해라' 뭐 이럴 때 말하는 학점이 이 평점입니다.
학교에 따라 만점이 4.5만점, 4.3만점으로 다르며 이 만점에 따라 각 등급 별 평점이 다릅니다.
네이버 학점계산기 등 학점계산툴로 쉽게 계산하고 알아볼 수 있습니다.
4.5만점으로 3.5면 딱 남들하는 정도만큼입니다. 높지도 낮지도 않으며 3.5 이상만 받으면 성적에는 문제없는 겁니다. 다만 코로나 이후에는 학점 인플레가 심해져서 3점대 후반 정도가 평균이라고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4.5 만점 기준으로는 A+ = 4.5, A0 = 4.0, B+ = 3.5, B0 = 3.0, C+ = 2.5, C0 = 2.0, D+ = 1.5, D0 = 1.0, F = 0 이렇게 평점이 나옵니다.
두번째는 이수 학점입니다. '3학점 짜리 수업', '한 학기에 18학점' 등 이렇게 말할 때 학점이 이수 학점입니다.
대학에서 요구하는 일정 기준의 이수학점을 얻어야 졸업이 가능합니다.
보통 전공 XX학점, 교양 XX학점, 그외 자유선택 XX학점 등 이런 식으로, 4년제 기준 130~140학점 정도를 얻어야 합니다.
이 이수 학점은 수업에서 F를 제외한 나머지 성적을 받으면 모두 받게 됩니다.(F는 해당 수업을 이수하지 못한 것이기 때문에 이수 학점이 0입니다.)
보통 일주일의 수업 시간이 학점이라고 보면 되는데(일주일에 3시간 -> 3학점) 실습과목의 경우 수업 시간에 비해 학점이 적게 나오니 꼭 수업 시간 = 학점이라고 볼 순 없습니다.(교양 체육 과목같은 경우 일주일에 2시간, 1학점인 경우가 많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