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irp 편입 비중제한 있습니다 TIGER KRX 금현물 (00720 ETF)KODEX 미국 나스닥 100 (379810 ETF)KODEX
TIGER KRX 금현물 (00720 ETF)KODEX 미국 나스닥 100 (379810 ETF)KODEX 미국 S&P 500 (379800 ETF)KODEX 200 미국채 혼합 (284430 ETF)TIGER 토탈월드스탁액티브 (0060H0 ETF)를 irp계좌에서 운용 가능 한가요? 위험자산 편입 비중 제한이 70%라고 하는데 이렇게 투자 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해 쉽게 설명드릴게요.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는 노후 준비를 위한 세제 혜택 상품으로, 투자 상품에 제한이 있어요.
특히 위험자산(예: 주식 중심 상품)은 전체 자산의 70%까지만 넣을 수 있고, 나머지 30%는 안전자산(예: 채권 중심 상품)으로 채워야 해요.
1. 이 ETF들이 IRP 계좌에서 운용 가능한가요?
네, 모두 가능해요!
IRP에서 ETF 투자는 대부분 허용되지만, 일부 증권사나 상품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예: 인버스/레버리지형은 금지될 수 있음). 각 ETF를 확인해보니:
-TIGER KRX 금현물 (0072R0 ETF): 금 현물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IRP에서 가능. 금은 대체로 위험자산으로 분류돼요.
-KODEX 미국 나스닥 100 (379810 ETF) :미국 나스닥 주식 중심, IRP 가능. 주식형이라 위험자산.
-KODEX 미국 S&P 500 (379800 ETF): 미국 S&P 500 주식 중심, IRP 가능. 주식형이라 위험자산.
-KODEX 200 미국채 혼합 (284430 ETF): 한국 주식(40%) + 미국 채권(60%) 혼합, IRP 가능. 채권 비중이 높아 안전자산으로 분류될 수 있어요 (전체 100% 투자 가능).
-TIGER 토탈월드스탁액티브 (0060H0 ETF): 전 세계 주식 액티브, IRP 가능. 주식형이라 위험자산.
주의: 증권사(예: KB, 신한, 삼성)에 따라 취급 상품이 다를 수 있으니, 계좌 개설 은행/증권사에 확인하세요. 2025년 규정상, 파생상품형 ETF(레버리지 등)는 금지될 수 있어요.
2. 위험자산 70% 제한에 맞춰 투자해도 될까요?
네, 가능하지만 전체 포트폴리오를 잘 관리해야 해요. IRP는 위험자산 비중을 70%로 제한해 안정성을 지켜요. (위험자산: 주식 비중 40% 초과 상품, 금 등 / 안전자산: 채권 중심 상품)
- 만약 이 ETF들만 투자한다면: 주식형(나스닥, S&P, 토탈월드)은 70% 이내로, 금은 70% 이내로, 혼합형은 100% OK.
- 예: 전체 자산 100% 중 주식형 ETF 70% + 혼합형 30% = 규정 준수.
- 문제 발생 시: 주식 가격 오르면 자동으로 비중 초과될 수 있어요. 그럴 땐 안전자산으로 조정하세요. (은행 앱에서 확인 가능)
이렇게 투자하면 장기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지만, 시장 변동(주가 하락, 금리 변화)에 따라 손실 날 수 있어요. 세제 혜택(연금 소득세 3.3~5.5%)을 받으려면 55세 이후 연금으로 받는 게 좋아요.
추가 팁
-왜 좋을까?- 이 ETF들은 분산 투자(미국/전세계/금)로 위험 줄임. 2025년 글로벌 시장 불확실성(인플레, 금리)에서 유용.
-주의점: 수수료(0.15~0.35%), 환율 변동(달러 기반 ETF) 영향 있어요. 초과 비중 시 은행에서 경고 올 수 있음.
-추천: 증권사 앱으로 시뮬레이션 해보세요. 소득/나이 따라 IRP 한도(연 1,800만 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