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과학 세특 평가 안녕하세요 고1 학생입니다 이번에 과학탐구실험 과목 1학기 세특이 나왔는데
안녕하세요 고1 학생입니다 이번에 과학탐구실험 과목 1학기 세특이 나왔는데 너무 나열식인 것 같아요.. 사실 진로도 경영학과로 갈지 간호학과로 갈지 못 정해서 특정 학과에 세특을 맞추진 않았는데 여러분이 보시기에는 어떤지 궁금해서 질문 올려봅니당 도량형의 통일과 국제표준이 왜 중요한지를 나사의 화성 탐사선 사건을 통해 단위의 중요성을 깨닳음. 과학의 기초 단원에서 질량, 길이, 부피 등 어떠한 양을 재는 활동인 측정과 어떠한 양을 추정하는 활동인 어림에 대해 학습하고, 측정과 어림의 관계에 대해 탐구함. 나아가 빛처럼 극단적으로 빠른 존재는 어떻게 측정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김. 고대 엠페도클레수는 빛에 속도가 있다고 주장했으며, 갈릴레이는 실험으로 측정하려 했으나 실패했지만, 이후 1676년 외모는 목성의 위성 이오의 식 관측을 통해 빛의 속도가 유한함을 밝혔고, 맥스웰은 방정식을 통해 빛이 전자기파임을 주장했으며, 헤르츠가 이를 입중했음을 보고서로 작성함. 판의 경계에서 지진과 화산 활동이 일어남을 알고, 두 재난이 발생했을 때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피해는 어떤지,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국가에서는 어떤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지 반 학우들과 생각해 봄. 스턴트 에그 실험을 통해 충격량이 운동량의 변화량과 같다는 이론뿐만 아니라 실제 우물정과 같은 구조를 만들어냄, 실험에서는 고배를 마셨지만 구조물을 다시 분석하면서 문제해결능력과 실패원인을 분석하면서 과학적탐구역량을 높이는 계기가 됨. 제가 일일이 친 거라서 오타 있을 수도 있어요.. 양해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농민의마음입니다
세특 내용은 나열식으로 느껴질 수 있으나,
진로와 연결하면 충분히 의미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경영학과:
'나사 화성 탐사선 사건'은 정확한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으로,
'지진·화산 활동 토론'은 위기 관리 능력으로 연결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간호학과:
'측정' 활동은 환자 상태 파악 능력으로,
'스턴트 에그 실험'은 문제 해결 능력으로 확장해 서술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활동의 본질을 파악하고,
희망 학과에서 필요한 역량과 연결해 재구성하면 좋습니다.
단순히 활동을 기록하기보다 그 과정에서 무엇을 느끼고 배웠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