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의대를 가려면 어떤 과정을 거치나요 이제 내년이면 캐나다에 있는대학으로 진학 학고싶습니다. 저는 의대를 가고싶은데 어떠한
이제 내년이면 캐나다에 있는대학으로 진학 학고싶습니다. 저는 의대를 가고싶은데 어떠한 과정르 거쳐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분은 MCAT을 요구하지 않는 곳으로 가락고 하시고 어떤분은 무조건 토론토 대학을 들어가라고 하십니다. 스스로 찾아봤지만 아직 너무 부족한것 같습니다. 저로서 저는 지금 너무 어지럽네요. 너무너무 죄송하지만 하나하나 자세히 알려 주실수 있나요. 저는 캐나다 고등학교에 재학중이고 온타리오에 살고 있습니다.
캐나다에서 외국인이 의대에 가는 것은 아주 힘듭니다.
현지인(캐나다인+영주권자)보다 자리가 적기에 경쟁이 더 심합니다.
한국처럼 의예과를 가서 의학과로 바꾸는 시스템이 아니고
의학 대학원 진학이 가능한 90학점이상의 대학교 필수 및 선택수업을 하고 합격을 하면 의사가 되는 길이 시작됩니다.
1단계. 학부(Undergraduate) 과정
기간: 보통 3~4년 (전공 제한 없음, 하지만 의대 입학에 필요한 필수 과목 수강 필수: 생물, 화학, 물리, 영어 등)
비고: 캐나다 의대는 고등학교 졸업 직후 바로 입학하는 경우 거의 없음. 대부분 학부를 거침.
의대 원서 제출 (GPA, MCAT, 자기소개서, 추천서, CASPer 시험 등 포함)
면접(MMI: Multiple Mini Interview)
비고: 일부 학교는 MCAT 면제 가능(하지만 외국인·비PR에게는 거의 해당 없음)
*외국인이 MCAT 없이 의대 가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움
MCAT 없이 지원 가능하더라도, 외국인 신분이면 거의 전부 지원 불가가 많습니다.
2~3년: 병원 임상 실습(Internal Medicine, Surgery, Pediatrics 등)
학위: MD(Doctor of Medicine) 취득
가정의학(Family Medicine) → 2년
내용: 병원 근무 + 전문의 수련, 실제 환자 진료
급여: 연 $60,000~$70,000 정도(수련의 급여)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시험 또는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 시험 합격
전문의 등록 후 병원 취업 또는 개인 개원 가능
가정의학 (학부 4년 + 의대 4년 + 레지던시 2년)
내과·소아과 (학부 4년 + 의대 4년 + 레지던시 4~5년)
외과·전문외과 (학부 4년 + 의대 4년 + 레지던시 5~7년)
*MCAT 없이 외국인 지원 가능 = 거의 없음, 있어도 매우 제한적(McGill, UofT 정도)
현실적으로 캐나다 의대 → 외국인 루트는 극단적으로 경쟁 치열
장기적으로 캐나다에서 의대 가려면 먼저 PR(영주권) 확보가 가장 확실한 방법
캐나다에서 Science로 전공을 해서 졸업하고 일을 하다가 영주권을 받고 도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20대중후반에 의사 준비해도 늦지 않습니다.)
캐나다 의대 입학 경쟁률: 10~20:1 수준 (매우 높음)
대부분 학생이 학부를 마치고 지원 → 고등학교 졸업 직후 입학은 극히 드묾
외국인 신분으로는 입학 거의 불가능 → 영주권·시민권 확보가 사실상 필수